[대전=뉴시스] 김양수 기자 = 국내연구진이 협력연구를 통해 한국인 DNA에서 인간 유전체 진화 단서를 찾았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 김선영 박사팀이 아주대학교 박지환 교수팀, 충남대학교 김준·여민경 교수팀과 함께 한국인 고유 유전체 데이터를 활용해 미지의 영역에 가까웠던 인간 유전체 진화와 관련된 구조변이 형성원리를 규명했다고 21일 ...
국내 연구진이 한국인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고유의 유전체 구조 변이를 발굴했다. 희귀질환 등 질환별 원인 규명 연구에 널리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김선영 박사팀이 박지환 아주대 교수팀, 김준·여민경 충남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한국인 고유의 유전체 데이터를 생산·활용해 인간 유전체 진화 관련 구조 변이를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고 21일 밝혔 ...
인간 DNA 해독 기술은 긴 DNA 서열을 한 번에 읽어낼 수 있는 '롱리드 시퀀싱' 발전으로 인간 유전체의 약 8%에 해당하는 복잡한 영역까지 해독하게 됐다. 그러나 여전히 해독 연구는 부족하며, 특히 한국인 고유 구조 변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는 거의 이뤄지지 ...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국내 연구진이 한국인 유전체의 고해상도 지도를 구축하고 공통의 돌연변이를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선영 박사팀은 아주대 박지환 교수팀, 충남대 김준·여민경 교수팀과 공동으로 한국인 세 명의 유전체 데이터를 고해상도로 구축하고, 미지의 영역으로 알려진 염색체 끝부분에서 공통의 구조변이 (structual ...
국내 연구진이 유전체 데이터 분석을 통해 한국인 만이 가진 고유의 유전변이 정보를 밝혀냈다. 한국인의 건강 증진과 희귀질환 치료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 김선영 박사 연구팀은 아주대학교 박지환 교수 연구팀, 충남대학교 김준, ...